Blog
스터디
CS Study with SON
14
Lambda

출처 - https://github.com/jmxx219/CS-Study (opens in a new tab)

스트림(Stream)과 람다(Lambda)


람다(Lambda)

  • 람다식은 메서드를 하나의 식으로 표현한 것
  • 람다식을 적용하면 메서드의 이름과 반환값이 없어지기 때문에 익명 함수라고도 부름
  • 사용 예시
    // 람다 구조
    (인자)->{로직}
    // 기존 메서드 구조
    void action(){
        System.out.println("we are running");
    }
     
    // 람다 구조
    ()->{System.out.println("we are running");}

자바8 이전의 메서드는 클래스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기때문에, 정의를 위한 클래스를 만들어야했고, 호출을 위해 불필요한 객체생성을 해야했다.


람다의 내부 구조

람다식의 실체는 메서드가 아닌, 익명클래스의 객체이다.

  • 다음 람다식은
    (int a,int b) -> a > b ? a : b;
  • 실제로는 아래와 같이 생겼다.
    new Object(){
        int max(int a,int b){
            return a>b ? a: b;
        }
    }


스트림(Stream)

  • 스트림은 연속적인 데이터의 흐름을 의미하며, 자바 스트림 API또한 원하는 작업들을 연속적으로 처리해줌
    • 선언형 : 더 간결하고 가독성이 좋아진다.
    • 조립할 수 있음 : 유연성이 좋아진다.
    • 병렬화 : 성능이 좋아진다.
  • 스트림의 특징
    • 스트림은 데이터소스를 읽기만 할뿐 변경하지 않는다.
    • 스트림은 일회용이다. 스트림을 한번 사용하면 닫혀서 다시 사용할 수 없다. 필요하다면 다시 스트림을 생성해야 한다.
    • 스트림은 작업을 내부 반복으로 처리한다.

스트림과 컬렉션

  • 컬렉션은 반복자(for, while)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직접 요소를 반복해야 한다. 이 반복을 외부 반복이라고 부른다.

    • 외부반복의 경우, 반복자가 존재함

      List<String> names = new ArrayList<>();
      for(Dish dish: menu) {
          names.add(dish.getName());
      }
  • 스트림은 반복을 알아서 처리해주고 결과 스트림 값을 어딘가에 저장해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내부 반복이라고 한다.

    • 내부반복의 경우, 반복자 없음

      List<String> names = menu.stream().map(Dish::getName).collect(toList());
    • 내부 반복의 장점

      1. 반복자 없음 : 개발자가 직접 반복문을 처리해주지 않아도 됨.
      2. 병렬 처리 : 외부 반복을 사용하면서 병렬처리를 위해서는 스레드간의 공유자원에 대한 동기화 처리를 따로 해줘야 한다. 하지만 내부 반복은 이를 관리할 필요가 없음

스트림에서 사용하는 함수형 인터페이스

  1. Predicate<T>

    참 거짓을 판단하는 인터페이스. 매개 변수를 받아서 결과값을 반환

    List<Integer> numbers = Arrays.asList(1, 2, 3, 4, 5, 6, 7, 8, 9, 10);
     
            List<Integer> evenNumbers = numbers.stream()
                    .filter(n -> n % 2 == 0)
                    .collect(Collectors.toList());
  2. Function<T,R>

    일반적인 함수. 매개변수를 받아서 결과를 반환

    List<Integer> numbers = Arrays.asList(1, 2, 3, 4, 5);
     
            List<Integer> squares = numbers.stream()
                    .map(n -> n * n) 
                    .collect(Collectors.toList());
  3. Cunsumer<T>

    매개변수만 있고 반환값은 없는 상태

    List<Integer> numbers = Arrays.asList(1, 2, 3, 4, 5);
     
            numbers.forEach(number -> System.out.println(number));
  4. Supplier<T>

    매개변수는 없고 반환값만 있는 상태

    Supplier<Integer> randomNumberSupplier = () -> new Random().nextInt();
     
            Stream<Integer> randomStream = Stream.generate(randomNumberSupplier)
                    .limit(5);

반환값의 유뮤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4개의 함수형 인터페이스 모두 다양한 형태로 스트림에서 활용되고 있다.


스트림 연산

스트림의 연산은 다음 두가지로 나뉘게 된다.

  • 중간 연산 : 연산 결과가 스트림으로 반환. 스트림에 연속해서 중간 연산을 할 수 있음
    • distinct() : 중복 제거
    • filter() : 조건에 안 맞는 요소 제거
    • limit() : 스트림 일부만 가져옴
    • sorted() : 스트림 요소를 정렬
    • map() : 스트림 요소를 변환
  • 최종 연산 : 스트림의 요소를 소모하는 연산으로, 마지막 한 번만 가능
    • forEach() : 각 요소에 지정된 작업 수행

    • count() : 스트림의 요소 개수 반환

    • max(), min() : 최대, 최소값 반환

    • findAny(), findFirst() : 스트림 요소 중 하나 반환

    • toArray() : 스트림의 모든 요소를 배열로 반환

    • collect() : 스트림의 요소를 수집한다. 주로 요소들을 그룹화하거나 컬렉션에 담아 반환

이렇게 연산을 계속하는 것을 체이닝이라 하고 해당 코드가 무엇을 할지가 보다 명확해진다.

stream.distinct()
.limit(5)
.sorted()
.forEach(System.out::println)

스트림의 지연연산

스트림은 게으르다. 스트림은 스트림 문장 전체를 인식한 이후에 시작하기 때문에 최종연산이 수행되기 전에는 중간연산이 수행되지 않는다.


스트림 루프 퓨전

  • 아래와 같은 클래스가 존재한다.

    static class Data {
      private final int value;
      public Data(int value) { 
      	this.value = value;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 -> " + value; 
      }
    }
  • 다음과 같은 스트림 연산을 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Stream.of(new Data(1), new Data(20), new Data(300))
        .peek(System.out::println) //forEach와 유사한 중간연산
        .peek(System.out::println)
        .forEach(System.out::println);
  • 대부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예상할 것이다.

    -> 1
    -> 20
    -> 300
    -> 1
    -> 20
    -> 300
    -> 1
    -> 20
    -> 300
  •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 1
    -> 1
    -> 1
    -> 20
    -> 20
    -> 20
    -> 300
    -> 300
    -> 300
  • 예시로 보인 스트림을 for문으로 바꿔보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for (Data data : datas) { 
      System.out.println(data); // 첫 번째 peek
      System.out.println(data); // 두 번째 peek
      System.out.println(data); // forEach
    }

루프를 엮는 루프 퓨전은 원소에 접근하는 횟수를 줄여주는데, 이는 eager한 연산을 사용하여 9번의 원소 접근이 필요한 작업을 3번만에 처리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항상 루프 퓨전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중간 연산 중 한정되지 않은 상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루프 퓨전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orted 연산은 이전 단계의 결과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전 단계의 2개의 peek에서 루프 퓨전을 수행한 후에 sorted 연산을 하고, 나머지 peek 연산을 퓨전한다.

Stream.of(new Data(1), new Data(20), new Data(300))
    .peek(System.out::println)
    .peek(System.out::println)
    .sorted(Comparator.comparing(Data::getValue))
    .peek(System.out::println)
    .peek(System.out::println)
    .forEach(System.out::println);

스트림 쇼트 서킷

  • 스트림의 연산을 중간에 끊어주는 행위를 말한다.

  • 다음 스트림 연산에서 무한한 원소를 갖는 무한 스트림을 이용하는데, 랜덤한 값중 100개만 뽑아서 정렬하는 것을 볼수 있다.

    Stream.generate(() -> new RandomInt())
        .limit(100) 
        .sorted(Comparator.comparingInt(Data::getValue)) 
        .collect(Collectors.toList());
  • 하지만 만약 limit의 위치가 sorted뒤로 가게 되면 무한한 원소를 sorted 연산하게 되어 연산이 끝나지 않게 된다.

    Stream.generate(() -> new RandomInt())
        .sorted(Comparator.comparingInt(Data::getValue)) 
        .limit(100) 
        .collect(Collectors.toList());


스트림의 병렬 처리

  • 한 가지 작업을 여러 서브 작업으로 나누고, 서브 작업들을 분리된 스레드에서 병렬적으로 처리하고, 결과들을 최종 결합하는 방법이다.

  • 자바는 ForkJoinPool 프레임워크 (opens in a new tab)를 이용해서 병렬 처리를 한다.

    • main 스레드는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기본 스레드이고 나머지 스레드는 ForkJoinPool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생성된다.
    • 해당 프레임워크의 설정해줘서 생성할 스레드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
  • 스트림은 병렬처리와 순차처리를 합쳐서 사용할 수 있다.

    • parallel() : 순차 처리 스트림을 병렬처리로 변경
    • sequential() : 병렬처리 스트림을 순차 처리로 변경

    ex) list.stream().limit(100).parallel().reduce(Integer::sum);
    위 코드는 limit() 까지는 순차 처리로 진행하고 이후엔 병렬처리로 진행한다.


하지만 병렬 처리는 되도록 쓰지말자

참조들이 가리키는 실제 객체가 메모리에서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엔 주 메모리에서 캐시 메모리로 전송되어 오기를 기다리는 시간이 늘어난다. 따라서 참조 지역성은 다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벌크 연산을 병렬화할 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최종 연산의 동작 방식에 따라서도 병렬처리는 효과가 달라진다. anyMatch(), allMatch() 처럼 조건에 맞으면 바로 반환되는 연산은 병렬화에 적합하지만 collect() 메서드와 같이 합치는 작업은 부담이 크다.

즉, 병렬화를 잘못 사용하면 성능이 나빠지거나, 예상치 못한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스트림의 사용

아래와 같은 상황에선 스트림을 지양하자.

  1. 범위 안의 지역변수를 읽고 수정해야 하는 경우.

    • 람다에서는 변화하지 않는 상태를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부적절
  2. return, break, continue등의 세밀한 반복 제어가 필요할 때

  3. 검사 예외를 던질 때

  4. 다음 단계에서 이전 단계의 상태 정보가 필요할 떄 (스트림은 데이터를 버린다)


아래와 같은 상황에선 스트림이 적절하다.

  1. 원소들의 시퀀스를 일관되게 변환하거나, 필터링 할 때

  2. 원소들의 시퀀스를 한가지의 규칙(연산)을 사용해 결합할 때

  3. 원소들의 시퀀스를 특정 컬렉션에 모을떄

  4. 원소들의 시퀀스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원소를 찾아낼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