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리눅스 팁

Linux

파일 디스크립터 설정

ulimit -n # 현재 설정된 파일 디스크립터의 수 확인
ulimit -n 65536  # 소프트 한계를 65536으로 설정

리눅스 보안 설정팁

Nord VPN

설치 후 로그인 시

nordvpn --nordaccount 

옵션 붙여서 로그인 해줬음

meshnet on
nordvpn set meshnet on

클라이언트 설정

ssh-keygen -t rsa

Generating public/private rsa key pair.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root/.ssh/id_rsa):

해당하는 디렉토리에 암호 생성

Enter passphrase (empty for no passphrase):
Enter same passphrase again:

암호를 입력하라고 나옴. 퍼블릭키로 접속시 암호 없이 바로 접속하려면 암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됨.

서버 설정

클라이언트에서

cat ~/.ssh/id_rsa.pub

으로 나오는 메시지를 긁어서 서버

~/.ssh/authorized_keys 

파일에 카피해줌

vi /etc/ssh/sshd_config

sshd config 파일에서

PasswordAuthentication yes

부분을

PasswordAuthentication no

로 수정 후 (주석도 같이 제거)

sudo systemctl restart ssh

ssh 재기동 해주면 암호를 이용한 ssh 접속은 차단됨

ℹ️

맥에서 ssh를 설정하는 경우

PasswordAuthentication no
ChallengeResponseAuthentication no

둘을 no로 해주고

sudo launchctl stop com.openssh.sshd && sudo launchctl start com.openssh.sshd

명령을 통해 ssh를 재기동 해줘야 한다.

Systemctl vs Service

정리 엄청 잘 해놓은 글 (opens in a new tab)

ZSH

oh-my-zsh 테마 폴더 표시 변경

Cypher 등과 같은 테마를 사용하게 되면 폴더가 4개 이상 표출되어서 terminal창이 더러워진다.
이 때, 테마 파일에서 PROMPT의 설정을 변경해서 표시되는 폴더의 개수를 줄여줄 수 있다.

vi ~/.oh-my-zsh/themes/cypher.zsh-theme

위 명령어로 파일을 열어주고

# PROMPT="%m %{${fg_bold[red]}%}:: %{${fg[green]}%}%4~%(0?. . %{${fg[red]}%}%? )%{${fg[blue]}%}»%{${reset_color}%} "

윗 부분을

PROMPT="%m %{${fg_bold[red]}%}:: %{${fg[green]}%}%2~%(0?. . %{${fg[red]}%}%? )%{${fg[blue]}%}»%{${reset_color}%} "

처럼 변경한다.
%4에서 %2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게 폴더의 갯수이다.

특수문자 깨지는 경우

Powerline 폰트를 지원해줘야 해결되는 문제이다.

git clone https://github.com/powerline/fonts.git --depth=1 && cd fonts && ./install.sh && cd .. && rm -rf fonts

위 명령어를 통해서 폰트를 설치한 후,
VSCode의 Font 설정을 열면

위와 같이 폰트를 설정할 수 있는데 맨 마지막에 ~ for Powerline 이라고 되어있는 부분이 Terminal에 해당하는 폰트이다.
iterm의 font 설정도 위와 같이 바꿔주면 된다.

Git

key 생성

key 생성
ssh-keygen -t rsa -b 4096 -C "rookedsysc36@gmail.com"

생성해서 나온 key git에 등록

cat ~/.ssh/id_rsa.pub

Clone한 Project의 경우

Clone한 프로젝트의 경우 원래 연결을 삭제하고 재설정해줘야 한다.(왜그런지는 모름, https가 아니라 ssh로 설정해줘야 하는 것으로 추정)

git remote remove origin
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rookedsysc/Linux_MacOS_Setting.git

새로운 디스크 추가

https://ta-starter.tistory.com/43 (opens in a new tab) 포스팅 참조

/etc/fstab 설정 변경

리눅스를 재부팅할 경우 mount 명령어로 마운트한 디스크가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럴 경우

sudo vi /etc/fstab

를 열어서

/dev/sdb        /data  ext4    defaults 0      0

순서대로 디스크의 위치, 마운트할 위치, 파일시스템, 옵션, dump, fsck 순서로 입력해준다.

ℹ️

파일 시스템의 경우 df -T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 할려면

mount data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User 관리

추가

useradd -m kali -p test1234 -s /bin/zsh
ℹ️

-m : 홈 디렉토리 생성
-p : 패스워드 설정
-s : 쉘 설정
-g : 그룹 지정

삭제

리눅스 Docker 설정 팁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Error 라는 에러가 발생하면,

sudo chmod 666 /var/run/docker.sock
sudo systemctl restart docker.service

출처 : https://www.baeldung.com/linux/docker-permission-denied-daemon-socket-error (opens in a new tab)

node 18 설치

🚫

좀 오래 걸릴 수 있음
만약에 nodejs가 설치되어 있다면 삭제 후 설치해야 함

curl -fs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18.x | sudo -E bash -
sudo apt install -y nodejs

Error

zsh: command not found: sudo

root에서

apt-get install -y sudo